한글 2007에서 일정 구분 기호로 구분하여 입력한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세로 줄 데이터를 각각 필드로 인식한다.
그러므로 정렬하고자 하는 데이터일 경우 탭, 쉼표 등의 기호로 규칙적으로 입력해주면 좋다.
원하는 필드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래의 그림에서 이름을 기준으로 정렬하고자 할 경우 '필드1'을 기준으로 지정하면 된다.
글자일 경우 '가나다'와 '하파타' 중에서 정렬할 수 있고, 숫자일 경우는 '012', '987' 중에서 정렬할 수 있다.
위의 데이터는 탭을 사용하여 각각의 필드를 입력했다.
위의 데이터를 이름을 기준으로 하여 가나다순으로 정렬해보자.
정렬할 데이터만큼만 블록지정한 후 [도구]-[정렬] 메뉴를 클릭한다.
[정렬] 창이 나타나면 첫 번째 기준의 '위치'를 '필드1'로 선택한다.
'형식'을 '글자(가나다)'로 선택한다.
필드 구분은 글자를 입력할 때 사용한 구분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.
'이름'을 입력한 후 한 칸을 띄우고 '전화번호'를
입력하는 식으로 입력했다면 '빈칸'을 선택해야 한다.
나는 탭을 입력했으므로 '탭'을 선택했다.
아래는 정렬의 결과다.
이름을 보면 '강요섭', '김민서'....등
가나다 순으로 정렬된 것을 볼 수 있다.
위의 데이터를 표로 변경한 후 표에서 정렬해보자.
데이터를 모두 선택한 후 [표]-[문자열을 표로] 메뉴를 클릭한다.
[문자열을 표로 만들기] 창이 나타나면 [설정] 버튼을 클릭한다.
만약, 다른 기호로 분리되어 있다면 '분리 방법 지정'을 선택하고
해당하는 기호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면 된다.
문자열이 표로 바뀌면 정렬하기 위해 [도구]-[정렬] 메뉴를 또다시 클릭한다.
[정렬] 창이 나타나면 나이를 기준으로 정렬하기 위해
'위치'는 '필드3', '형식'은 '숫자(012)'를 선택한다.
012는 숫자가 작은 수->큰 수로 정렬되는 방식이다.
아래 결과를 보면 나이가 작은 사람에서 큰 사람으로 정렬된 것을 볼 수 있다.

'말랑말랑 컴퓨터 > 한글&워드 강좌&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글에서 큰따옴표 입력, 일본어 입력, 삽입/수정 문제 해결 방법 by Y (1) | 2013.11.05 |
---|---|
[한글 기초] 배분 정렬로 글자를 균등 분할해보자 by Y (1) | 2013.08.22 |
한글 바탕쪽 기능 (문서 전체에 같은 모양 적용하기) by Y (4) | 2013.06.03 |
한글 표에서 셀 블록 설정(범위 지정) 방법 by Y (3) | 2013.05.30 |
워드 매크로 실습 (단락 사이에 같은 내용을 삽입하기) by Y (0) | 2013.04.13 |
한글 표를 다음 페이지로 넘기기 by Y (8) | 2013.03.26 |
한글 문서에 테두리와 배경 넣기 (쪽테두리/배경, 워터마크) by Y (1) | 2013.03.15 |
한글 모양복사 기능 이용한 문서 꾸미기 by Y (0) | 2013.02.27 |
한글에서 구역 나누기 (용지방향, 용지크기, 쪽번호 등을 페이지마다 다르게 설정) by Y (4) | 2013.02.15 |
한글/일본어 변환 방법 (한글에서 일본어가 입력될 경우) by Y (0) | 2013.0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