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에서 원하는 셀만 블록(까맣게 범위 지정하는 것을 의미)을 설정한 후 글자모양, 문단모양, 표 테두리, 배경색, 크기 변경 등의 작업하는 건 많이 해봤을 것이다.
셀을 블록 설정할 때 마우스로 드래그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, 하나의 셀만 선택한다든지, 쉽게 표 전체를 선택한다든지, 떨어져 있는 셀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.
키보드와 마우스로 한글 표를 블록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.
[F5] 한 번 누르기 - 커서가 위치한 셀만 블록 설정된다. (회색 원이 표시됨) [F5] 두 번 누르기 - 커서가 위치한 셀부터 4개의 방향키로 연속된 셀을 블록 설정할 수 있다.(빨간색 원이 표시됨) [F5] 세 번 누르기 - 무조건 표 전체가 블록으로 설정된다. [Shift] 누르고 클릭 - 커서가 위치한 셀부터 [Shift] 누른 상태에서 클릭한 셀까지 연속된 셀을 블록 지정할 수 있다. [Ctrl] 누르고 클릭 - [Ctrl] 누른 상태에서 클릭한 셀마다 블록 지정되므로 떨어져 있는 셀을 선택할 수 있다. |
위의 5가지 방법으로 셀 블록을 설정하는 방법을 아래의 표로 실습해보자.
1. [F5] 한 번 누르기
하나의 셀만 블록 설정할 경우 원하는 셀을 클릭하여 커서를 옮긴 후 [F5] 키를 한 번 누르면 된다.
이때 블록 가운데에 회색 원이 표시되고, 방향키를 누르면 블록을 원하는 셀로 이동할 수 있다.
2. [F5] 두 번 누르기
빨간색 원이 표시된 블록이 표시되고 방향키를 누르는 방향으로 블록을 지정할 수 있다.
3. [F5] 세 번 누르기
표 안에 커서가 어디에 있었든지 무조건 표 전체가 블록으로 설정된다.
아무리 큰 표라도 이 방법으로 간단하게 표 전체를 블록 지정할 수 있다.
4. [Shift] 누르고 클릭
시작 셀을 먼저 클릭하고, 마지막 셀을 [Shift]를 누른 상태로 클릭하면
아래와 같이 연속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.
5. [Ctrl] 누르고 클릭
처음부터 [Ctrl]을 누르고 원하는 셀을 마우스로 선택하면
아래와 같이 떨어져 있는 셀들을 블록 지정할 수 있다.
처음부터 [Ctrl]을 누르고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아래와 같은 블록도 설정할 수 있다.
표에서 무슨 작업을 하든지 블록을 설정하는게 가장 먼저 할일이다.
이때 마우스 뿐만 아니라 키보드도 이용하면 다양한 모양의 블록도 설정할 수 있게 된다.

'말랑말랑 컴퓨터 > 한글&워드 강좌&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글2007에서 배포용 문서 만들기(읽기 전용 문서 만들기) by Y (0) | 2014.06.01 |
---|---|
[한글 기초] 한글 표 만들기 (이력서 만들기) by Y (0) | 2013.12.21 |
한글에서 큰따옴표 입력, 일본어 입력, 삽입/수정 문제 해결 방법 by Y (1) | 2013.11.05 |
[한글 기초] 배분 정렬로 글자를 균등 분할해보자 by Y (1) | 2013.08.22 |
한글 바탕쪽 기능 (문서 전체에 같은 모양 적용하기) by Y (4) | 2013.06.03 |
워드 매크로 실습 (단락 사이에 같은 내용을 삽입하기) by Y (0) | 2013.04.13 |
한글 2007 글자 정렬 by Y (4) | 2013.04.02 |
한글 표를 다음 페이지로 넘기기 by Y (8) | 2013.03.26 |
한글 문서에 테두리와 배경 넣기 (쪽테두리/배경, 워터마크) by Y (1) | 2013.03.15 |
한글 모양복사 기능 이용한 문서 꾸미기 by Y (0) | 2013.02.27 |